만 나이 시행 및 계산법 알아보기(2023)




매월 1월 1일 가족들과 함께 떡국을 먹으며 다 함께 한 살을 먹어왔던 대한민국에서 2023년 6월 28일부로 만 나이 계산법이 시행되었습니다

이번 글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해왔던 ‘세는 나이, 연 나이’는 어떤 것인지, 어떤 문제점으로 ‘만 나이’가 시행되었는지와 함께 각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

 

만 나이 시행 썸네일

 

세는 나이와 연 나이

 

세는 나이

그동안 우리가 사용해왔던 나이 계산법으로, 태어남과 동시에 1살이 되고, 새해가 되면 1살이 추가됩니다

출생일부터 1살, 그다음 해 1월 1일부터는 2살이 되므로, 12월 31일에 태어나더라도 다음 날인 1월 1일에는 2살이 되는 계산 방법입니다

현재 나이 – 출생연도 + 1

 

연 나이

1월에 태어난 아이와 12월에 태어난 아이와 친구가 되는 ‘세는 나이’와 비슷해 보이지만, 연 나이는 청년보호법, 병역법 등에서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쓰이며 법 집행에 있어 적용을 편리하게 해준 계산 방법입니다

현재 연도 – 출생연도

 

우리나라는 ‘세는 나이, 연 나이, 만 나이’를 모두 혼용하여 사용해왔습니다. 법적, 사회적으로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국민들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행정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도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

 




현재는 만 나이를 제외한 나이 계산법은 폐지되었고 만 나이 계산법으로 통일되었습니다. 이러한 만 나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고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

 

 

만 나이

 

만 나이의 기준은 ‘생일’ 즉, 내가 태어난 날이 기준이 됩니다

적게는 1살, 많게는 2살까지 어려지기도 하고, 이제껏 친구들과 함께 나이를 먹어왔던 때와 달리 한층 나의 정체성을 심어주기도 하는 만 나이의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

    • 현재 생일이 지남 : 현재 연도 – 출생연도
    • 현재 생일 지나지 않음 : 현재 연도 – 출생연도 – 1

 

‘만 나이 계산기’ 버튼을 누르시면 간편하게 생일만 입력하신 후 확인이 가능합니다. 나는 몇 살이 어려졌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

 

 

이번 글에서는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된 만 나이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만 나이로 통일되어 친구끼리의 나이가 달라져 초반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, 이를 통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히 따지는 우리나라의 서열 문화가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작은 기대를 해봅니다. 오늘도 저의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항상 행복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♡

 

 

 

<참고하면 좋은 글>

병원 예약 어플 분석 (똑닥,굿닥,모두닥)

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 등급 종목 한방 정리

문화누리카드와 OTT서비스(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디즈니 플러스 등)

 



 

Leave a Comment